최근 주식 이야기 최악의 상황은 모면한듯? 하지만 하락의 가능성도 있다...

주식이야기|2022. 7. 16. 14:55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최근 주식 장 많이 안 좋죠? 저도 그렇습니다....

올해 2월 주식장이 피크를 찍고 내려온 뒤 계속 하락세에 중간에 매도도 못하고 계속 홀딩 상태라 제 계좌는 대부분 마이너스가 되었습니다.

그나마 연금계좌는 + 로 돌아서긴 했는데 그동안 쌓여왔던 상승분은 모두 반납했습니다... 결국 또이또이가 돼버렸네요..

 

하지만 그래도 멈출 수는 없고 계속 주식은 해야겠다는 생각은 하고 있습니다. 미국의 연이은 자이언트 스텝으로 이미 망가진? 상태에서 이제는 매수할 타이밍이 아닐까 하고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주욱 주시하고 있던 ETF 하나를 매수 시작했습니다.

바로 SOXL입니다.

SOXL은 이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하루 등락폭의 세 배를 따라가는 상품입니다. 세 배 짜리 레버리지인 만큼 오를 땐 많이 오르고 떨어질 땐 많이 떨어집니다.

 

이걸 매수한 이유는 첫 번째 반도체 쇼티지가 많이 회복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제가 다니는 회사도 반도체 쇼티지에 영향을 받아 제품이 고객들에게 인도가 지연되었는데 최근 지연이 다시 복구되었다고 들었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반도체 수급이 원활해졌다는 뜻이고 수급이 원활해지면 그동안의 물량을 다 소화하고 돈이 들어오는 시점으로 보고 있습니다.

 

두 번째 최근 반도체 지수가 크게 하락했던 점입니다.

삼성전자가 5만 원대에 입성하기도 했고 5만 원 초반대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6만 원 대로 회복되었습니다. 저점을 어느 정도 찍었다고 생각하고 작년에 주식에 많이 입문했던 사람들도 떠나가고 삼성전자의 평판이 나빠질 만큼 나빠졌다는 건 이제 매수할 타이밍이라고 생각합니다. 삼성이야 길게 보면 7~8만 원대에 안착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해 2~3년 주기로 주식을 한다면 이만한 예금? 상품도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세 번째는 음... 뭐랄까 나름 감이라고 생각합니다.

주식은 가장 공포가 심할때 매수하는 거라고 합니다. 지금이야 말로 다들 예금으로 떠나고 주식에 신물이 나서 그만둘 때가 매수 적기가 아닐까요? 이럴 때 급등하는 주식을 담기보다는 미래 성장성이 뚜렷한 종목을 고르는 게 어떨까 생각합니다.

 

그래도 아직 제 계좌는 이미 사망선고를 받은 상태이지만 이럴 때일수록 주식 공부를 더 하고 경제 주시해야 돈을 벌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공모주도 더 열심히 해야 하는데 올해는 공모주 수익이 너무 낮네요...

반응형

댓글()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 가석방에 따른 삼성전자 주가는?

주식이야기|2021. 8. 10. 00:01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오늘 오후 장이 마감된 이후에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의 가석방이 뉴스로 발표되었습니다.

법무부 가석방심사위원회에서 비공개회의를 통해 가석방을 허가했다고 합니다.

내일 주가가 어떻게 될지 궁금한데요.

저는 개인적으로 내일 삼성전자 주가가 오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최근 부진했던 주가가 조금씩 회복되어 주가가 상승하는 추세로 전환되었습니다.

 

20일 선까지만 하더라도 외국인 순매매량이 매도 포지션이었지만 최근 5일 기준으로 누적치를 보면 순매매량이 많이 상승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분기에서 매출액이 상당히 올랐지만 반도체 수요가 공급을 따라가지 못하고 업계가 지지부진되는 사이 최근 반도체 분기 매출에서 인텔을 제치고 1위에 등극하자 8만 원으로 복귀하여 최근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지루한 주식이라고 항상 말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는 부정적인 뉴스에도 항상 상승하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이번 이재용 부회장 가석방도 오너 리스크로 평가되는 게 아니라 앞으로의 반도체 산업의 투자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거라는 기대감으로 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최근 외국인의 순매수 상위종목을 살펴봐도 1위 삼성전자, 2위 카카오 뱅크, 3위 삼성 SDI, 4위 삼성전자 우, 5위 삼성전기 등 삼성과 관련 주식들이 조 단위 매수가 이뤄졌습니다. 

특히 이전에 평가되었던 실적에 대한 반영이 마무리되고 하락이 바닥을 찍고 올라가는 시점이라 판단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전문가들도 당분간 상승세가 이어질 거라고 판단하고 있고 올해 들어 코스피가 13% 상승한 거에 비해 삼성전자는 1%로도 오르지 않았기 때문에 상승여력이 더 크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