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굴기 셋팅 시 주의사항 3가지. Fail Safety 대응! 채굴 운영기 5부

IT/채굴|2021. 9. 12. 00:12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요즘 이더리움 시세가 아주 핫합니다. 대장인 비트코인이 상승하는 폭보다 더 가파르게 이더리움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런던 하드 포크 이후 채굴 기간은 늘어났지만 그만큼 이더리움 시세가 올라가 대응해주고 있는 모습입니다.

 

지금 생각해보니 6월 말이 나름 저점 시기 아니었나 싶습니다.

이후 꾸준히 상승하여 9월에 400만 원을 넘어가고 드디어 최고점에 가까운 450만 원까지 도달해 왔습니다.

이게 어디까지 지속될지는 모르지만 오랫동안 유지되었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ㅎㅎ

 

각설하고 채굴기 셋팅시에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은 바로 Fail Safety입니다.

풀어쓰자면 고장이 발생되었을 때 2차 대응이 가능한 방식을 항상 만들어둬야 합니다.

특히 원격으로 채굴기를 관리하시는 분들이라면 2중 3중으로 해두는 게 가장 좋겠죠.

제가 생각하기에 2중으로 해둬야 할 부분들 정리해보겠습니다.

 

 

 

1. 채굴기 재부팅

 - 채굴기는 원격으로 해 두었을 때 가끔 먹통이 되는 일이 발생합니다. 잘 돌아가던 것도 새벽쯤 아무 이유 없이 가끔 재부팅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럴 때 채굴기가 전원 오프 된다면 다시 켜 두게 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그래서 저는 2가지 방식을 사용합니다.

 

  • 1-1 메인보드 전원 부팅

메인보드 바이오스 설정에 들어가면 전원 쪽 관련된 설정들이 있습니다. 저는 MSI 라 MSI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Advanced - APM configuration - ErP Ready를 Disable 처리해주면 됩니다. 이 설정을 해두면 전원이 입력되었을 때 PC가 자동으로 부팅됩니다. 만약 채굴기가 갑자기 꺼졌다면 스마트 플러그로 전원 OFF-ON 해주면 채굴기가 다시 부팅되곤 합니다. 메인보드마다 전원 쪽 설정에 비슷한 내용이 있습니다.

 

제가 예전에 설명드린 다원 AI_PM을 사용하시면 편리합니다.

2021.08.09 - [IT] - IoT 스마트 플러그 2종 비교!! 브런트 플러그 vs 파워매니저 AI 스마트 플러그. 장단점 비교.

 

IoT 스마트 플러그 2종 비교!! 브런트 플러그 vs 파워매니저 AI 스마트 플러그. 장단점 비교.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오늘은 Iot 스마트 플러그 2종을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지금 브런트 사의 브런트 플러그와 다원 DNS의 AI Power Manager라는 스마트 플러그 2종을 같이 쓰고 있습니다.

sbuckbba.tistory.com

 

  • 1-2 WOL 설정

wake up event setup 항목을 찾아 들어가면 PCI-E Device 설정이 있는데 이를 Enable로 바꿔주면 됩니다. Windows에서 WOL 세팅은 기본 Enable 설정이 되어 있으므로 바이오스에서만 설정해주면 WOL 동작하게 됩니다.

 

그리고 채굴기의 게이트웨이로 돌아가 로그인해주고 세부 설정에서 Wake On Lan 설정에 원격으로 켜고자 하는 MAC address 주소를 입력해 줍니다. 만약 1-1 설정으로도 켜지지 않았다면 게이트웨이의 WOL 기능으로도 원격으로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2. 유선 인터넷 + 무선 인터넷

당연히 채굴기에는 유선 인터넷 연결이 가장 좋습니다. 채굴기가 인터넷 속도에 영향을 받지는 않지만 Ping 지연 시간도 작고 안정화된 유선을 연결하는 게 가장 좋겠죠. 그래도 혹시 모르게 게이트웨이 설정이나 유선 연결이 물리적으로 해제되었을 때도 대비로 무선 인터넷을 연결해주는 게 좋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메인보드에 와이파이 모듈이 없기 때문에 추가적으로 구매해서 사용했습니다. 가장 좋은 건 바로 다이소에서 파는 5000원짜리 와이파이 동글입니다.

가격도 싸고 바로 구매 가능해서 유선이 연결 끊겼을 때 무선 와이파이도 가능하도록 설정해놨습니다. 전원이 켜져 있더라도 인터넷이 안되면 채굴이 안 되겠죠? 가격도 얼마 안 하니 꼭 달아두시는 편이 좋습니다.

 

3. 원격제어 프로그램

원격제어 프로그램은 기본적으로 크롬 원격 데스크톱을 사용합니다. 원격 데스크톱은 크롬을 다운로드하고 로그인만 해두면 채굴기 부팅 시에 로그인 패스워드도 입력할 수 있습니다. 가끔 윈도 설치 시에 비밀번호를 실수로(?) 입력해버리면 로그인할 때마다 로그인 패스워드를 입력해줘야 합니다. 그때 크롬 원격 데스크톱을 이용하면 패스워드 입력이 가능하며 핸드폰으로도 접속해서 가상 키보드를 띄워두고도 입력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원격 데스크톱도 가끔 화면이 까맣게 나올 때가 있는데 이를 대비해서 저는 Parsec을 사용합니다.

Parsec 은 게임용으로 쓸만합니다. 핑도 적게 나오고 끊김 없이 부드럽게 출력됩니다.

다만 원격에서 사용 시에 큰 문제가 있습니다. 바로 모니터 연결이 반드시 필요한데요 이때 대신으로 가상 HDMI 디스플레이용 동글을 연결 해주면 문제없이 화면이 잘 출력됩니다. 만약 연결을 안 해주면 까맣게만 나오고 화면 제어가 정상적으로 되질 않습니다. 또한 하나 더! 마우스 블루투스도 연결해줘야 마우스 포인터가 표시됩니다. 이 2개를 반드시 연결해줘야 Parsec이 정상 동작합니다. 집에서 가끔 동작시키시는 분들이라면 가상 HDMI와 블루투스 동글을 반드시 연결해 두시길 바랍니다.

 

두 개 가격은 각각 5000원 정도이며 블루투스 마우스 동근 다이소에서 5000원이면 구매 가능합니다.

HMDI 동근 네이버 쇼핑으로 ㄱㄱ

 

메인은 반드시 크롬 원격 데스크톱입니다. 크롬 원격 데스크톱이 좋은 게 또 있습니다. 모니터 디스플레이를 연결 안 해도 되고 마우스 연결도 필요 없습니다. 

 

 

 

 

이 3가지 항목들만 여비로 만들어두신다면 채굴기를 원격으로 설정하셔도 문제 발생 시에 대응이 가능합니다. 순서는 우선 전원 켜고 인터넷 연결 확인하고 제어 가능한지 확인하고입니다. 문제를 잘 대응해야 맘 편히 채굴도 가능하니 꼭 2중으로 대비해서 즐거운 채굴되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댓글()

채굴시 주의사항 3가지! 채굴 운영기 4부

IT/채굴|2021. 8. 15. 23:08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요즘 채굴장 작업이 거의 마무리로 다되어 가면서 중간중간 애로사항이 몇 가지 있었던 일들을 공유하려고 합니다.

아마 채굴을 고민하시는 분이라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합니다.

 

1. 보안 문제

보안이 털리면 다 끝이야...

 

아마 이게 가장 문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채굴장에 상시 인원을 둘 수 없고 그렇다고 계속 있자니 모니터링 외에 딱히 할 일이 없을듯한데... 이 문제는 다들 가장 고민하는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외부인이 갑자기 침입했을 때 대응해줘야 하는 것들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CCTV가 아닐까 합니다. 캡스 같은 보안 전문업체를 통해서 서비스를 받는 것도 좋겠지만 아무래도 정기적인 큰 비용이 발생하니 작게 운영한다면 부담이 될 영역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무난하다고 생각한 게 바로 CCTV이고 요즘 IP 카메라도 잘 나와서 카메라를 2대 설치하기로 하였습니다. 그리고 저 같은 경우는 여러 인원이 같이 채굴장을 운영하기 때문에 IP 카메라를 DDNS를 통해서 여러 명이 동시 접속해도 볼 수 있게 하는 게 적합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녹화는 시놀로지 NAS를 이용해 서베일런스 센터 기능과 연동하여 2대의 카메라를 서버에 녹화하는 방식으로 세팅을 마무리하였습니다.

 

이렇게 하긴 해도 결국 카메라는 사고 발생 시의 복기용이지 대비책은 아니라 생각해서 문짝을 아예 바꿔버렸습니다.

도어 문을 기존의 합판과 같은 약한 문을 떼어내고 새롭게 철문으로 장착하고 NFC 터치 자물쇠로 변경하니 안심이 되었습니다. 추가적인 시건장치 장착도 고려했는데 이건 조금 효율적으로 번거로울 수 있어서 검토 중입니다.

다른 건 몰라도 보안 쪽은 2중 3중으로 시스템을 만들어두는 게 문제가 발생했을 때 별 탈 없이 해결할 수 있게 됩니다.

 

 

2. 인터넷

인터넷이 안되면 채굴도 망...

인터넷은 상가용 사무실을 쓰다 보니 일반 가정용처럼 인터넷을 설치할 수 없고 사업자용 인터넷을 따로 설치해야 합니다. 많은 PC에서 동시에 접속하니 가정용보다 안전하게 통신이 돼야 하고 또한 이더넷 랜 통신이 끊어졌을 때를 대비하여 와이파이 설정도 가능해야 합니다.

비용은 가정용보다 조금 비싼 100MB 3년 약정 기준 매달 23,000원이 발생됩니다. 저는 LG로 신청하였는데 처음엔 가정용이면 충분하겠지 생각했다가 생각해보니 채굴기 대수와 데스크톱 개수가 점점 늘어나서 사업자용으로 결정하였습니다. 

기간은 신청부터 기사 설치까지 대략 1주일 정도 소요되었습니다. 공사 자체도 따로 많지 않아서 1~2시간이면 금방 끝나게 됩니다. 문제는 이후에 메인으로 들어오는 이더넷선을 어떻게 분배해서 사용하느냐가 관건입니다. 그래서 안정적으로 IP를 할당해주는 스위치 허브를 공수받아 2대를 각각 장착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세팅뿐만 아니라 랜이 끊어지면 와이파이로도 동작 가능하도록 메인 게이트웨이에서 iptime 와이파이 모듈을 추가로 장착하여 와이파이도 접속 가능하게 설정하였습니다.

 

외부에서도 게이트웨이에 접속 가능하게 외부 포트 설정부터 와이파이 비밀번호까지 세세하게 설정해야 할 부분들이 많이 있습니다. 이런 작업을 가능하게 한건 본업 덕분에 저는 수월하게 했지만 이쪽 분야? 가 아닌 분들한테는 조금 생소하고 어려운 부분입니다. 제 친구들에게 작업 설명하고 이해시키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ㅠ

인터넷은 반드시는 아니지만 안정적인 채굴환경을 위해 어느 정도 공부를 해야 될 영역입니다.

 

 

3. 보험

보험은 필수지만 가입도 어렵다

보험은 가입을 꼭 권유드립니다. 만약 화재 발생 시 주변에 영향을 충분히 끼칠 수 있다면 꼭 가입해 길 바랍니다. 저는 다세대 상가라 만약 화재가 난다면 빌딩이 다 붙을 위험이 있기 때문에 무조건 신청하였습니다. 

가입은 까다롭습니다. 아무나 가입시켜주지 않고 특히 컴퓨터 용품들은 비싸지만 집기류로 구분되어 그 금액을 다 보상받지 못합니다. 보장 내용도 꼼꼼히 읽어보면 그 범위가 크지 않고 한도도 작게 설정되어 있습니다. 저는 지인의 지인을 통해 다행히 가입하였고 보장 내용은 조금 아쉽지만 적절한 선에서 타협하여 보장받고 있습니다.

 

보험의 핵심은 내 물건을 보장하는 게 아니라 다른 자산들을 보장해주기 위함입니다.

 

1차적으로는 보험이지만 가장 좋은 건 화재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게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화재를 대비한 용품들을 배치하고 스마트 플러그와 같은 제품들을 이용해 온도가 높은 고전력의 제품을 스마트하게 제어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이전에 적은 AI PM과 같은 제품이 아주 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

 

2021.08.09 - [IT] - IoT 스마트 플러그 2종 비교!! 브런트 플러그 vs 파워 매니저 AI 스마트 플러그. 장단점 비교.

 

IoT 스마트 플러그 2종 비교!! 브런트 플러그 vs 파워매니저 AI 스마트 플러그. 장단점 비교.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오늘은 Iot 스마트 플러그 2종을 비교해보려고 합니다. 저는 지금 브런트 사의 브런트 플러그와 다원 DNS의 AI Power Manager라는 스마트 플러그 2종을 같이 쓰고 있습니다.

sbuckbba.tistory.com

이 3가지가 사무실을 운영하는데 가장 핵심이 아닐까 싶습니다.

모두 안전하게 채굴하는 그날까지 채굴 운영기 연재는 계속됩니다. 

반응형

댓글()

이더리움 채굴 시작! 채굴 운영기 1부

IT/채굴|2021. 7. 25. 23:01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지난달 6월부터 이더리움 채굴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이전에는 친구들과 이더리움 채굴에 대해 막연히 얘기만 나눴는데 이걸 지난달에 실제로 구체화하였습니다.

 

초기에는 5명이서 그래픽카드 1대씩만 사서 6 way로 돌릴 생각이었지만

이더리움 시세가 쭉 유지되고 개개인의 욕심(?)이 점점 늘어나니 그래픽카드 1대가 아닌 채굴기를 각각 한 대씩 구매하여 운용하기로 하였습니다.

 

5명이서 의기투합해서 한 명씩 알아서 그래픽카드를 공수해서 구매하기로 했는데...

이게 웬걸 그래픽 카드 가격이 상상 이상이었습니다.

엔비디아 RTX3070 가격이 개당 130!!!

 

이게 6월 초반에는 110만 원까지 떨어졌다가 이더리움이 다시 슬금슬금 오르더니 130만 원까지 빡!!!

다시 7월 초가 되자 150만 원!!! 이 글을 쓰고 있는 시점에는 170만 원!!

 

아니, 이게 무슨 회도 아니고 싯가대로 팔다니....

더 이상 미룰 수 없다 생각하여 얼른 3070을 2대 구매했는데 이럴 수가... 더 주문할걸 그랬습니다. 130만 원에 사자마자 150만 원까지 오르고 더 이상 떨어지지 않더군요...

 

구매할 것도 많았습니다. 케이스에 SSD, 메인보드, 램, 파워, 라이저 카드 등등등...

언제 이걸 하나하나 조립할까 생각했는데 결국 아래처럼 드디어 완성하였습니다.

 

3070 2대로 완성한 2way 채굴기...

처음에 램을 잘못 꽂아서 부팅이 되질 않고 또 CPU 설치부터 간단한 나사 하나까지...

조립이 인생에 처음이라 시작부터가 난관이 매우 많았습니다. 세상에 쉬운 일 하나 없다지만 돈을 모은다는 게 정말 쉽지 않더군요...

그래도 잘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고 부팅해서 이것저것 설정해보니 채굴 시작!!!

 

아직 실감이 나질 않지만 Reported Hash 정보가 표시되니 조금은 실감이 나기 시작했습니다.

 

 

2부에 계속...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