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한국에도 스타벅스 배달 기능 추가! 코로나 시대에 맞는 흐름

스타벅스|2020. 12. 15. 00:42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쓰게 됐습니다.

지난달 27일부터 스타벅스 국내 첫 배달 매장이 문을 열었습니다.

 

배달을 연 매장은 서울 강남구 이마트 역삼점 내에 배달 전용 매장입니다. 스타벅스 역삼이마트점은 배달만 가능한 '딜리버리 테스트 매장'으로 대략 30평 규모입니다.

 

초기부터 소비자의 관심도 많아지고 안 그래도 요즘 높아지는 코로나 감염 때문에 비대면 방식이 선호되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도 배달 니즈가 높은 지역이다 보니 초기에도 많은 고객이 서비스를 찾는 것으로 보입니다.

 

스타벅스 어플에서도 바뀐 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아래 커피를 든 오토바이 남자를 클릭하면 배달 서비스로 이동하게 됩니다. 현재 베타 서비스이며 배송지 정보 수집 동의서는 필수로 동의해야 합니다.

 

첫 이용 시 약관에 동의하게 되면 일부 지역에서만 서비스가 가능하다는 알림을 받게 됩니다.

 

주소를 입력하고 배달받을 상세 주소를 입력하면 됩니다. 다만 현재 배달 지역은 서울 강남구 역삼 / 대치 일부 지역만 가능하다고 하여 예시로 용산에서 받는다고 설정하면 다음과 같은 안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예전에도 포스트 한 것처럼 앞으로 스타벅스는 배달 서비스에 더욱 치중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0/09/19 - [스타벅스/스타벅스 주식] - 스타벅스 주가는 테크주 하락에도 거꾸로 올랐을까? 그 이유는 바로 중국에 있다

 

스타벅스 주가는 테크주 하락에도 거꾸로 올랐을까? 그이유는 바로 중국에 있다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오늘은 9월 15일 Starbuck에서 게시한 슬라이드 하나를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JPMorgan Gaming, Lodging, Restaurant & Leisure Forum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발표자는 스타..

sbuckbba.tistory.com

코로나 백신이 완성되어도 완전히 소멸될 때까지 1~2년은 더 소요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 발맞춰 국내 스타벅스에서도 발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반응형

댓글()

스타벅스 브랜드 평판 2위? 갑자기 투썸플레이스 1위?? 왜???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오늘 스타벅스 관련된 뉴스를 찾아보다가 이런 기사를 찾아봤습니다.

 

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9536

 

스타벅스, 평판지수 대폭 하락하며 투썸플레이스에 ‘선두’ 내줘... 2020년 9월 커피전문점 브랜�

스타벅스가 지난 8월에 비해 큰 폭의 평판지수 하락률을 나타내며 9월 커피전문점 브랜드평판 2위로 내려섰다.한국기업평판연구소(소장 구창환)는 “2020년 8월 2일부터 2020년 9월 2일까지의 브랜�

www.futurekorea.co.kr

스타벅스 평판지수 대폭 하락하며 투썸플레이스가 브랜드 빅데이터 1위를 차지했다고 하는데요. 아무래도 이 기사에서 몇 가지 의심스러운 내용들이 있어서 좀 찾아봤습니다.

 


갑자기 투썸플레이스가 1위?

 

미래한국이라는 인터넷 신문에 2개의 기사가 올라옵니다.

'투썸플레이스, 평판지수 하락에도 스타벅스 제치고 ‘왕좌’ 차지... 2020년 9월 커피전문점 브랜드평판 1위'

'스타벅스, 평판지수 대폭 하락하며 투썸플레이스에 ‘선두’ 내줘... 2020년 9월 커피전문점 브랜드평판 2위'

첫 번째 기사는 2020.09.08 11:56 두 번째 기사는 2020.09.08 11:58에 각각 승인되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면 한국기업평판연구소(소장 구창환)가 8월 한 달 동안 브랜드 빅데이터? 를 통해 스타벅스가 2위를 차지했고 투썸플레이스가 1위를 차지했다고 했습니다.

선정된 결과의 점수를 보니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 지수 등등 여러 점수를 토대로 산출되었다고 합니다. 이중 참여지수의 비중이 다른 미디어지수나 소통지수에 비해서 전체 점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0% 가까이 돼서 결국 참여지수가 평가에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어떻게 이런 점수가 산출된 걸까요?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홈페이지에 찾아가 봤습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사이트

얼핏 보면 국가소속연구소 같아 보이지만 엄연한 사기업입니다. 커피 브랜드뿐만이 아니라 대학교, 홈쇼핑, 예능프로그램, 공기업 브랜드 등등 기업과 TV 포맷과 같은 여러 분야에 대한 지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커피 전문점 브랜드라고 하는 항목을 보니 기사에서 본 데이터를 나열해서 보여주는데 아무리 찾아봐도 지수를 어떻게 산출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다른 분야의 분석을 살펴봐도 산출 방법에 대한 정보를 찾아볼 수 없었는데... 나름 추측하기로는 여기서 말하는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인 AllSNS라는 알고리즘을 직접 공개하진 않을 거고 큰 기업들도 세세한 내용을 표시하지 않으니 넘어가도록 합니다.


걸그룹 브랜드 평판도?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는 걸그룹 브랜드 평판도 하는 걸로 확인됩니다. 2016년에도 저랑 비슷한 생각을 가진 분이 글 쓴 내용이 있습니다. 이 글 요점도 '참여지수'라는 항목에서 가장 큰 점수를 가져가고 또 이 점수를 기준으로 걸그룹 브랜드 평판도 나누고 있습니다.

한국기업 평판연구소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마케팅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서 브랜드 키워드 분석과 뉴스분석블로그페이스북커뮤니티댓글 분석을 통해서 나온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분석한 것이다.(출처 업코리아 9월 10일자 기사 한국기업평판연구소, 50개 대학교의 소비자 참여소통소셜평판 지수 발표’) 

걸그룹과 같은 특수직군들은 이러한 지수 통계를 통해 순위가 정해지면 이 지수를 보고 뉴스가 재생산되고 그에 따른 영향력도 커집니다. 좀 더 내용을 보니 인지도가 낮은 걸그룹이 상위권에 올라오고 오히려 높은 활동과 SNS 소통을 했던 걸그룹에 대한 순위가 낮아진 걸 볼 수 있습니다. 팬들은 거의 인정을 안 하는 분위기이며 지수 평가에 대한 불신과 출처에 대한 의문만을 남겼습니다.

 

이러한 지수가 과연 신뢰를 줄 수 있는 데이터일까요? 이들이 말하는 참여지수라는 게 실제 검색된 데이터일까요?

정말 그럴까?


구글 트렌드와 네이버 데이터랩

 

구글 트렌드와 네이버 데이터랩으로 각각 스타벅스와 투썸플레이스 간의 검색어 트렌드를 살펴보았습니다.

구글 트렌드
네이버 데이터랩

2개의 포털사이트에서 제공되는 검색어 트렌드에 대한 변화량을 보여주고 있는데요

구글 트렌드에서는 파란색이 스타벅스, 아래 네이버 데이터랩에서는 초록색이 스타벅스입니다.

두 개의 지표 모두 스타벅스가 검색량에서 2배가 넘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백분율이 말해주는게 뭘까요? 대형 포털사이트에서는 스타벅스가 훨씬 더 앞선 검색량을 보여주고 있는데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서는 정 반대의 결과를 보여주고 있군요. 적어도 브랜드 평판이 뒤집어 졌다면 한 번이라도 높았던 날짜가 있어야 하는데 단 하루도 스타벅스보다 높은 검색량이 있었던 적이 없습니다. 

 

물론 대형 포털사이트를 통하지 않고 다른 작은? 포털사이트이나 SNS를 통해서도 접근할 수 있겠죠. 국내에서는 네이버의 검색량이 50% 이상 차지하며 구글도 35% 정도의 검색량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큰 2개의 사이트에서 분석되지 않는 내용을 토대로 '참여지수'가 만들어졌다? 이 지수를 가져온 출처는 어디이며 어떻게 가공되었는지 심히 궁금할 따름입니다.


수치는 결국 돈이다.

 

결국 이러한 지수가 나오게 된 이유는 아무래도 수치로 보이는 데이터 그 자체가 하나의 광고의 역할을 하게 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빠르게 지나가는 유행 속에서 우리는 입소문이 아닌 숫자로 모든 것을 빠르고 쉽게 판단하고 사람들 머릿속에는 은밀하게 새길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지수가 나오게 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통계와 알고리즘으로 꾸몄지만 실제는 돈을 받고 광고를 해주는 바이럴 마케팅 회사와 다를 게 없는 것이죠.

 

저는 단순히 스타벅스를 사랑하고 관련된 정보를 찾아보는 걸 좋아해서 찾아보게 되었지만 일반 사람들이라면 '아 스타벅스보다 투썸이 요즘 더 잘 나가는구나'라고 착각할 수 있겠죠. 보이는 것에 쉽게 현혹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초시대에 흐름을 타는 것도 중요하지만 쉽게 지나치는 팩트를 놓쳐서는 안 되겠죠. 

반응형

댓글()

스타벅스 커피 할인해서 먹는 법 5가지 방법 소개합니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오늘은 스타벅스 커피 할인해서 먹는 방법 5가지를 공개합니다. 

 

 

1. 이벤트 참여해서 무료 스타벅스 쿠폰 얻기

 - 귀찮지만 정말 싸게 먹을 수 있긴 하죠...ㅋㅋ 각종 카드사 이벤트, 홈페이지 이벤트, 은행 이벤트 등등 여러 사이트에서 사람들을 모으기 위해 스타벅스 쿠폰을 거의 기본으로 뿌립니다. 이벤트 등록을 하기 위해서 개인정보 등록 및 퀴즈나 출석 이벤트 등을 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쿠폰 +1000원 이상 스타벅스 카드 결제(보통 사이즈업) 하게 되면 별도 추가로 적립되니 나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2. 통신사 할인 적용

 - 지금은 막혔지만 예전에는 LG, KT 모두 스타벅스 할인을 해주던 때가 있었습니다. 현재 LG는 스타벅스와 제휴가 끝나버려서 예전처럼 할인을 할 순 없습니다. 예전에는 LG 유플러스 VIP 면 매달 4100원 커피 한잔이 무료였으며 한주에 한 번씩 500원 사이즈업도 해준던 때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KT 멤버십으로 월 1회 500 포인트 차감하여 Free size upgrade 만 가능합니다.

 

 

3. 스타벅스 5만 원 자동충전

 - 스타벅스 카드를 5만 원 자동충전 설정을 해놓으시면 BOGO 쿠폰을 무료로 발급해줍니다. 이 혜택은 일반 충전 이 아닌 자동충전 시에만 가능하니 꼭 자동충전 설정으로 해놓으시길 바랍니다. 이외에도 스타벅스 카드 충전을 해놓으면 여러 이점들이 많습니다. 카드로만 결제 시에는 샷 1잔 추가도 무료이니 카드로만 결제하실 때 샷 추가해두시면 사이즈업과 같은 이점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스타벅스 기프티콘 구매하기

 - 뽐뿌나 클리앙에서는 쿠폰 게시판을 통해 스타벅스 기프티콘을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뽐뿌 온라인장터

 

보통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tall 사이즈 1개 기준 3000~3500원 정도의 시세를 가지고 있습니다. 보통 한잔에 4100원 정도이니 20~25% 정도 할인된 가격으로 드실 수 있습니다. 한 개씩 파는 게 아니라 대량으로도 가끔 많이 파시는 분들도 계시니 흥정(?)을 잘하신다면 개당 3000원 가격보다 훨씬 더 싼 가격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아니면 e-gift를 구매하셔도 좋습니다.

 

 

5. 카드 혜택을 통한  할인

 - 카드사마다 스타벅스 구매 시 청구 할인, 현장 할인, 포인트 적립 등 스타벅스와 관련된 카드 혜택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건 전월 실적과도 관련 있고 구매 시 비용을 계산해야 할 경우도 있습니다. 어떤 카드들은 1만 원 이상 결제시마다 50% 할인과 같은 혜택이 있습니다. 카드사마다 추가 혜택 설정이나 플러스 혜택을 해두시면 특정 조건들에서는 +@ 효과를 보입니다. 거기에 추가로 스타벅스 카드 충전과 더불어 사용한다면 최대의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

무실적! 하나카드 체크카드 발급받고 스타벅스 2잔 받자!!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오늘은 토스에서 진행하는 카드 혜택 추천! 체크카드 발급받아 스타벅스 쿠폰 받는 법에 대해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해당 이벤트는 20년 8월 1일부터 20년 8월 31일까지만 진행하는 이벤트로 10일 정도 남았으니 빠르게 진행하는 게 좋겠네요.

 

해당 이벤트에 참여하기 위해서 토스 -> 전체 -> 카드 혜택 추천 -> 체크카드 -> 4위 VIVA X 체크카드를 누르시면 됩니다.

 

먼저 이벤트 참여 조건입니다.

참여 조건은 아주 간단합니다.

참여조건
 - 토스앱에서 이벤트 카드를 신규발급한 회원

기존 하나 신용카드나 체크카드 소지 여부와 관계없이 해당 카드를 발급받으면 이벤트 대상에 해당됩니다. 다만 주의할 것은 '토스' 어플 내에서 신청했을 경우에만 가능하며 하나카드 홈페이지에서 발급받으면 대상이 아닌 점 참고 바랍니다. 그리고 토스에서 신청했을 때 카드 이미지와 하나카드에서 신청했을 때의 카드 이미지가 다릅니다. (개인적으로는 토스 이미지가 더 깔끔하고 좋네요^^)

 

결제조건이 있는데 조건이 까다롭지 않아 해당 카드로 건단 5천원 이상 결제, 2회면 충분합니다.

결제기간은 20년 8월 1일부터 20년 9월 2일까지라 8월 내에 결제를 못해도 2일 더 추가로 결제 가능합니다.

5천 원 이상 2회 결제하면 건당 아이스 아메리카노 쿠폰 1장을 받을 수 있으며 최대 2장까지입니다.

수령 날짜는 20년 9월 9일(수)이며 하나카드에 등록된 휴대폰 번호로 발송됩니다.

 

그럼 이벤트 뿐만이 아니라 카드 자체의 혜택도 한번 알아봐야겠죠?

무실적 카드로는 꽤 괜찮은 카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주요 혜택을 보면 해외 가맹점을 이용할 때 해외결제수수료 건당 $0.5 면제, 국제브랜드수수료 이용금액의 1% 면제입니다. 보통 이런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전월 실적 30만 원, 40만 원 등등 이전 월 실적을 요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카드는 전원 실적과 무관한 무실적 카드입니다. 대신 결제계좌를 하나은행 결제계좌를 사용해야 하며 ATM 사용 시에는 현지 ATM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다는 점 꼭 참고 바랍니다.

 

 

또한 국내 가맹점 결제 시 캐시백 지급률 0.3%를 제공하며 한도는 50만 원 정도입니다. 하지만 이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전원 실적 30만 원이라는 조건이 있으니 0.3%의 혜택을 받기 위해서 이 카드를 쓰는 것보다 해외여행 시 급하게 돈 인출이 필요한 경우나 해외 결제 시에만 사용하는 게 좋겠네요.

 

총평 : 카드 점수를 매기자면 ☆ 로 주고 싶습니다.

별 3개를 준 이유는 

장점 : 무실적, 해외인출수수료 면제, 국제브랜드수수료 면제
단점 : 까다로운 전월실적, 매우 낮은 캐쉬백률

정도가 되겠네요.

 

반응형

댓글()

쇼핑과 적립을 동시에! 경유를 통해서 커피값을 벌어보자!!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여러분들은 혹시 쇼핑하실 때 경유사이트를 이용하시나요?

예전에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서 바로 물건을 구매했다면 요즘에는 스마트폰으로 앱을 다운로드하여 물건을 구매하죠.

그런데 경유 사이트를 이용하면 추가로 적립이 된다는 건 알고 계셨나요?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은 '직접' 사이트나 앱을 통해서 하는 방법만 알고 있지 '경유'를 통해서 구매하는 방법을 모르시더라고요. 

 

기본적으로 경유 사이트의 적립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렇게 구매자가 경유사이트를 거치지 않고서 구매할 때는 쇼핑몰 입장에서는 훨씬 더 많은 이득을 취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바로가기나 해당 앱 결제 시 할인과 같은 경유 사이트의 리워드를 다시 고객에게 할인 개념으로 제공하는 결제 방식도 이뤄지고 있습니다.

 

만약 바로가기나 해당 앱 결제 시 할인과 같은 결제 할인이 없다면??

우리는 그걸 경유사이트를 통해 대신 포인트를 가져갈 수 있겠죠.

항상 가능한것은 아니거나 모든 경유사이트가 쇼핑몰에 대한 제휴가 맺어진 것도 아닐 수 있으니 꼭 확인하고 결제 시 여러 방면으로 검토해봐야 합니다. 특히 큰 금액일 때는 1~2%라고만 해도 만원, 이만 원 이렇게 차이 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경유사이트는 어떤 곳이 있을까요?

가장 유명한 곳은 바로 네이버, 다나와입니다.

네이버에서 갤럭시 탭 S6 Wifi 128G를 검색했을 때 가격입니다.

 

 

11번가에서 661,480원으로 가격 표시가 되어 있는 걸 보실 수 있는데요. 여길 거치지 않고 11번가로 바로 접속해 보겠습니다.

 

11번가 직접 접속 기준 743,700원 - 네이버 경유 기준 661,480원 = 82,220원의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아래에서 할인 쿠폰을 더하면 이 가격보다 더 낮은 가격에도 살 수 있겠죠. 하지만 해당 쇼핑몰의 등급이 낮거나 쿠폰이 없다면 원 가격에 구매를 하게 되는 '대참사'가 발생할 수 있겠죠. 

 

물론 항상 경유사이트를 통해 구매하는 게 반드시 싸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오히려 사이트에 직접 접속하여 바로가기 용 쿠폰을 사용한다던가 특가전 또는 등급 쿠폰을 통해 구매하는 게 더 할인이 높은 경유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냉장고 세탁기 등 비싼 가전제품이라면 경유 사이트 비교와 쿠폰 할인 혹은 이벤트 정보를 꼭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이렇게 네이버와 다나와는 보통 '경유 할인'을 제공하는 반면에 '적립'을 해주는 사이트도 있습니다.

가장 유명한 곳은 오케이 캐시백이 되겠죠. 

 

 - 오케이 캐시백 쇼핑 적립

http://www.okcashbag.com/online/frugalShoppingMall/frugalShoppingMallList.do

이렇게 사이트마다 각기 다른 적립률을 보여줍니다. 적립률은 보통 월마다 달라지게 되는데 일반적으로는 1~3%의 적립률입니다. 또한 적립 사이트 내에서도 품목에 따라 적립률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리고 적립률 제외 항목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프티콘, 상품권, 선불카드' 등등 현금화가 가능한 물품들은 적립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이점 꼭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제가 주로 이용하는 경유사이트는 바로 에누리입니다. 에누리에서 오픈마켓으로 접속하시려면 아래 중간에 보이시는 주요 쇼핑몰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에누리 앱 안에서 쇼핑몰로 이동하게 되고 그 상태에서 물건을 구매 후 결제하시면 바로 에누리 적립 화면이 뜨면서 1~3% 정도 적립이 이루어지게 됩니다.

적립 시기는 보통 2~3주 정도 걸릴수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다른 경유사이트도 즐겨 쓰지만 제가 에누리를 쓰는 이유는 바로 소셜커머스 3대 장인 티몬, 위메프, 쿠팡 때문이죠.

예전에는 소셜커머스라고 했지만 요즘에는 지마켓 11번가처럼 오픈 마켓의 행보를 따라가고 있습니다. 요즘에는 티몬 위메프 쿠팡에서 구매를 하는 경우가 많은데 특히 '그 상품'을 구매하기 좋다는 게 장점이죠.

여러 개를 구매하고 또 금액도 만만치 않으니 경유를 했을 때 적립되는 금액도 꽤 쏠쏠합니다.

또한 타 사이트에서는 적립 제외인 상품들도 에누리에서는 적립 대상 상품으로 취급하는 경우도 있어 타 경유 사이트 대비 큰 장점이라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쌓은 포인트는 에누리 내 'e쿠폰 스토어'에서 상품으로 교환 가능하며 여기에 스타벅스 상품들도 교환하실 수 있습니다. 2700점 정도 쌓으면 마카롱 하나와 교환이 가능합니다. 여기에 추가금만 더 내면 스타벅스 한잔도 가능하죠 ㅋ

 

오늘은 이렇게 경유 사이트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여러분들도 꼭 물건 구매하실 때 경유하셔서 소소하지만 짭짤한 적립 가져가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