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 주가는 테크주 하락에도 거꾸로 올랐을까? 그이유는 바로 중국에 있다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오늘은 9월 15일 Starbuck에서 게시한 슬라이드 하나를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JPMorgan Gaming, Lodging, Restaurant & Leisure Forum 컨퍼런스에서 발표한 자료입니다.

 

 

 

발표자는 스타벅스 최고 재무책임자(CFO) 패트릭 그리스머이며 2018년도부터 계속 총괄 부사장 겸 재무책임자입니다. 

 

그리스머는 업적이 뛰어난 금융전문 경영인으로 하얏트 호텔(Hyatt Hotels Corporation), 염! 브랜즈(Yum! Brands)(KFC, 피자헛 및 타코벨의 모회사) 및 월트 디즈니(Walt Disney Company) 등 25년 넘게 고객을 직접 상대하는 글로벌 성장 기업을 이끌어 온 경험을 가졌다고 합니다.

그리스머는 2016년 3월 하얏트에 입사한 이래 현재까지 이어온 최고 재무책임자직으로 스타벅스에 합류하게 되는데 이 직책을 맡으면서 글로벌 금융 기능과 기업 전략, 자산 관리, 건설, 조달 및 공유 서비스의 모든 면을 책임져 왔습니다.

 

참고로 이 아저씨(?)입니다 ㅋㅋ

 

패트릭 그리스머

 


 

미국 내 지속적인 판매 회복

 

Starbucks에서 게시한 슬라이드를 보면 미국에서 6 월에 19 %, 7 월에 14 %, 8 월에 11 % 의 매출 감소를 보였습니다. 코로나가 가장 활발했던 6월 이후로 점차 마이너스 매출이 감소는 추세를 보실 수 있습니다. 

통계에서는 13 개월 이상 영업했던 스타벅스 직영 매장만 산출하였으며 COVID-19 확산으로 인해 영구적으로 폐쇄된 것으로 확인된 상점은 제외되었습니다. 미래의 복구 원동력으로는 들고 다니는 POS기와 Curbside pickup (픽업 전용 매장), 그리고 미국 내 Stars for Everyone이 핵심 포인트로 보입니다.

 

 

중국 전체 판매 회복에 접근

 

 

6 월 중국에서 비슷한 매출은 8 % 감소했고 7 월에는 10 % 감소했으며 8 월에는 정체되었습니다. 스타벅스 임원들은 중국 사업이 완전한 판매 회복에 근접하고 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앞서 마찬가지로 미래의 복구 원동력으로는 현재 중국에서 서비스하고 있는 픽업 전용 서비스 스타벅스 나우가 있으며 디지털 참여 그리고 알리바바와 파트너십으로 인한 배달 서비스입니다. 중국 내에서 스타벅스 사업성에 대한 여러 다각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앞으로의 Key Dates

 

스타벅스는 2020년 10월 29일 20년도 4분기 실적 발표를 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2021년에 대한 장기적인 목표가 포함될 것으로 보입니다. 12월 9일은 비엔날레 투자자의 날 행사를 개최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추세를 본다면 다가오는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중국의 성장세가 플러스가 된다면 주가는 더욱더 오를 거라 생각됩니다. 향후 스타벅스 횡보에 대해 기대를 갖게 하네요 ^^

 

반응형

댓글()

최악은 면한 스타벅스, 뜻밖에 선전으로 인한 주가 상승!

반응형

안녕하세요. 스미남입니다.

 

이번 28일 스타벅스의 실적 발표가 있었는데요. 결론적으로는 40% 가까이 하락했지만 그래도 선방했다는 평가입니다.

매출이 감소하긴 했어도 코로나로 인한 여파가 그래도 예상보다는 양호한 편인 것 같습니다.

 

전날 마감 이후 나온 실적은 예상치를 넘어서 주당 손실이 46센트로 예상치인 59센트보다 낮았습니다. 매출도 42억만 달러 (약 5조)를 기록해 당초 시장 예상치였던 40억만 달러를 웃돌았습니다.

전문가들은 38.1% 매출 감소지만 예상보다 나쁘지 않은 수치이기도 하고 다음 분기의 실적에 대한 전망을 상향 조치하여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 다만 코로나로 인한 다수의 매장이 일시 폐점으로 인하여 악재로 작용했고 영업 이익률이 전년도 동기 대비 -12.6% 감소하였습니다.

스타벅스 최고재무책임자(CFO)는 "대규모 2차 감염이나 그에 따른 경제적 하락이 없다면 약 1년 후에는 중국과 미국에서 매출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하였습니다. 또한 "코로나 이후 직장이나 학교 가는 길에 음료를 사는 고객이 줄었으나 일부는 늦은 아침이나 이른 오후로 시간대를 옮기는 듯 코로나 생활에 적응하고 있다"라고 하였습니다.

 

원래 오늘 점심쯤 글을 작성하려고 뉴스와 주가를 살펴보니 다들 나름 잘했다는 평가와 시장 외에서도 주가가 일시적으로 6% 상승하였으며 이 글을 적을 때에도 약 4% 주가가 전일 대비 상승 반영되었습니다.

 

저는 코로나 이전 때부터 주식을 사모으고 코로나가 터진 이후에도 추가 매수를 통해 원금까지는 복귀하였습니다. 이 추세라면 코로나 백신이 나올 것이라고 예상되는 10월까지 조금씩 상승하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이 있습니다. 

아직 완벽한 회복세로 돌아가기에는 좀 멀게 느껴지지만 각종 뉴스에서도 10월 백신 개발이 완료될 것이다라는 보도로 인해 향후 주가 상승폭이 더 클 것이라고 예상됩니다. 

 

https://www.etoday.co.kr/news/view/1923640

 

코로나 백신 개발 가시권...이젠 가격전쟁이다

▲마스크 쓴 행인이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화이자 본사 앞을 지나가고 있다. 뉴욕/로이터연합뉴스 결국 또 돈이 문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

www.etoday.co.kr

 

코로나와 더불어 스타벅스의 향후 움직임에 대해 면밀히 관찰하여 여러분들과 같이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댓글()